`${}는 문자열 안에 넣을때만 사용
메서드 ex) console.log('ewrwer') 나 a.indexOf 이런것들 = 함수에 속함
function greet(매개변수){}
greet('elvis') - 이 엘비스는 '인수'라고함
function greet(firstName) {console.log(`${firstName} is`)}
greet('s') 하면 s is 이런식으로 나옴 - 입력한걸 전달만함 식별능력 x
인수 안넣으면 undefined로 뜸
function a(1,2) {여기안에 for문,if등 다 쓸 수 있음}
function add(x,y) {console.log(x+y)}
let total = add(9,3) 해서 total값 찍어보면 안나옴(undefined) - 그냥 console.log로 값 출력만 해준거지 실제로 저장되는값은 아님 캡쳐되는 값이 아님
실제로 저장하고 보관하기 위해서는 반환 키워드(return)이 필요
return은 그 함수를 끝내는 역할도함 - 뒤에 코드 써도 실행 안됨
return은 하나의 값만 반환함
sum += array[i] 배열에 있는 값 하나씩 더하고싶으면 sum =0 만들어놓고 if문 만들어서 sum에 array[0] array[1] 더해가는 방식으로
'J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method (0) | 2022.09.08 |
---|---|
function - 함수의 범위 (0) | 2022.09.07 |
while for문 헷갈리는거 정리 (0) | 2022.09.06 |
JS while문 (0) | 2022.09.05 |
if문 (0) | 2022.08.21 |